마이크를 잘 고르려면

음향 시스템에서 소리의 첫 관문인 마이크는 그 중요성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원 소스가 좋을 수록 뒤에서 프로세싱의 질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수천가지의 마이크들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어서 어떤 마이크를 골라야 할지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가끔 목사님들이 비싼 마이크라고 저에게 보여주는 마이크를 보면 겉만 그럴듯한 질이 낮은 제품이거나 유명 브랜드 마이크를 카피한 경우가 있습니다.

마이크를 잘 고르는 다음의 기준들이 있습니다.

  1.  브랜드를 보라.
  2. 장소와 용도에 따른 마이크를 선택하라.
  3. 제품의 사양을 체크하라.
  4. 직접 소리를 들어보라.

이 네가지만 지켜도 괜찮은 마이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추천 마이크 브랜드들

마이크의 주요 브랜드는(대중적이거나 음향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제품 중심으로, 이 외에도 여러 좋은 마이크 브랜드들이 있습니다.)

Shure, AKG, Sennheiser, Audio-Technica, EV(Electro-Voice), Beyerdynamic, Audix 등은 대중적으로 유명한 마이크 브랜드로 쉽게 볼 수 있는 좋은 마이크 브랜드입니다.

음향인들 사이에 추천되는 설교용 마이크 브랜드들도 있습니다. 고가의 Schoeps, DPA, 중고가의 MBHO GmbH, Countryman, 중가의 AKG, EV, Shure, 중저가의 Superlux 등이 있습니다.

녹음용 마이크는 Neumann, Rode, CAD, AKG, Shure, MXL등이 주로 추천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Lewitt, Blue, Heilsound 등도 최근 몇 년 사이 국내에 인정받고 있는 마이크 브랜드 들입니다.

2. 장소와 용도에 따른 마이크 선택

u857q_1설교용으로는 구즈넥 타입의 컨덴서 마이크를 추천합니다.
거위의 길고 유연한 목을 닮았다고 구즈넥 마이크라고 불리는 이 마이크는 설교 시 작은 헤드부로 인해 설교자의 얼굴을 별로 가리지 않고, 쉽게 적절한 위치로 마이크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핸드형 다이나믹 마이크에 비해 근접효과(가까이 할 수록 저음이 커지는)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컨텐서 마이크라 예민하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를 요합니다.

특히 위치를 잘 못 잡으면 팝핑 노이즈(ㅂ, ㅍ, ㅊ 같은 모음 발음시 펑펑 거리는 소리가 나는 현상. 주로 파열음을 소리 낼 때 호흡이 크게 나가기 때문입니다.)가 많이 생기기에 마이크 헤드부를 입의 정면으로 하기보다는 약간 측면으로 위치하고 제품 구입 시 같이 들어가 있는 팝핑 필터를 헤드부에 끼웁니다.

Audio-Technica AE5400-cutaway찬양 보컬용으로는 일반적인 다이나믹 마이크가 좋습니다.

다이나믹 마이크는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좋아 여러 사람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해도 좋은 소리를 냅니다.

내구성이 좋지만 마이크의 헤드 망 부분이 약한 제품들이 있기에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

내구성이 강한 다이나믹 마이크는 다이캐스팅(주물)로 만든 제품으로 요즘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험한 환경에서 써도 왠만해서는 고장이 잘 나지 않습니다만, 대신 무게감이 있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찬양 인도자용으로는 다이나믹 마이크 보다 감도가 좋은 핸디형 컨덴서 마이크를 쓰기도 합니다.

컨덴서 마이크는 소리를 예민하게 잡아주지만, 내구성은 다이나믹 마이크에 비해 약하기에 전용 마이크 케이스에 보관해야하고, 아무에게나 이 마이크를 사용하게 해서는 안됩니다.

게다가 나머지 음향 시스템이 받쳐주지 못하면 하울링이 자주 발생할 수 있고, 하울링 때문에 소리를 줄이다 보면 오히려 다이나믹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 보다 못 해 지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좋은 시스템이 갖춰질 때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마이크라고 비싼 돈을 주고 샀는데 제대로 못 사용하는 경우가 주로 여기에 해당합니다.

녹음용 마이크는 주로 성가대 녹음용, 악기 녹음용으로 사용합니다.

기타 앰프나, 베이스 앰프는 보통 다이나믹 마이크를 많이 사용합니다.

드럼은 전용 마이크 세트를 팝니다. 저음을 잘 잡는 Kick 전용 마이크 부터, 스네어와 탐에 고정 클립이 달린 마이크와 심벌과 전체 엠비언스를 잡는 컨덴서 마이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가대는 성가대 전용의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하거나 녹음용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합니다.

현악기나 관악기는 악기에 설치하기 좋은 전용 마이크가 나옵니다. 그러나 그것이 안될 때는 녹음용 컨덴서 마이크로 소리를 잡습니다. 다이나믹 마이크는 소리가 큰 악기가 아닌 이상 추천하지 않습니다.

3. 제품 사양 체크

마이크의 스펙을 살펴보면 아래의 그림 중 하나의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Polar Pattern이라고 마이크의 지향성을 나타낸 그림입니다.

마이크의 지향성이란, 마이크가 소리를 흡음하는 특성입니다.

Polar Pattern Comparison

대부분의 마이크는 단일 지향성(Cardioid)을 많이 씁니다. 단일 지향성 마이크는 마이크 앞부분의 소리를 주로 잡고, 뒷부분의 소리는 거의 안들어옵니다. 그래서 무지향성이나 초단일지향성과 극초단일지향성 마이크 보다는 핸들링 노이즈나 하울링 발생 정도가 많이 낮습니다.(물론 하울링은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한다고 다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설교용 구즈넥 마이크는 주로 단일지향성이나 초단일지향성이 많습니다.

녹음용으로는 악기나 사용 용도에 따라 무지향성, 양지향성, 단일지향성, 초단일지향성 등 선택해 사용합니다. 고급 녹음용 마이크는 이런 지향성을 바꿀수 있는 스위치가 달려있는 것이 있습니다.

이 슬라이드 쇼에는 JavaScript가 필요합니다.

마이크의 감도(Sensitivity)는 1 kHz 의 사인파 주파수 기준으로 파스칼 당 mV 단위로 측정됩니다. 파스칼은 기압을 재는 단위이지만, 마이크에서는 마이크에 가해지는 음압(音壓, Sound Pressure)을 뜻합니다.

1m 거리에서 1kHz의 사인파를 94dB의 음압으로 전했을 때 어느 정도의 전압(mV)을 생성하느냐가 감도의 표시되는 수치 입니다.

가장 대중적인 마이크인 Shure SM58은 1.85mV를 발생시킵니다. 1.85mV보다 수치가 더 큰 마이크는 Shure SM58보다 감도가 좋다고 보면 됩니다. 보통 일반적인 다이나믹 마이크는 2mV 내외의 감도를 가집니다. 녹음용은 이보다 수~수십배의 감도를 가집니다.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는 마이크가 정상적인 사운드로 수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음압의 폭을 나타냅니다. 만약 120dB 까지 나는 드럼에 110dB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갖는 마이크를 대었다면, 최대 수용치를 넘어서 소리가 찌그러지거나 계속되면 마이크가 망가지게 됩니다. 특히 음압이 센 타악기나 관악기에서 중요하게 체크해야 할 항목입니다.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은 그래프로 보여지는데, 마이크로폰 주파수 응답 차트의 수평 숫자는 주파수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인 20 Hz ~ 20 kHz 범위), 수직 숫자는 상대 출력 레벨을 dB (데시벨) 단위로 나타냅니다. 전 가청 주파수 대역을 동일한 음압으로 소리를 냈을 때 마이크가 특정 주파수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rated-response

이 마이크는 2kHz에서 서서히 올라가 4kHz와 6~7kHz 대역이 잘 표현이 됩니다. 소리는 고음이 맑게 나오지만 때로는 그 고음이 듣기 싫을 수도 있기에 믹서의 이퀄라이저로 소리를 조절해 줘야 합니다.

FreqChart-Beta58A1

위의 마이크 주파수는 Shure 사의 SM57입니다.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마이크의 근접 효과를 나타낸 것입니다. 거리가 가까울수록 저음이 더 세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거의 모든 마이크는 근접효과를 가집니다.

AT4050-FreqResponse(omni)

컨덴서 마이크는 더 예민하기에 근접효과를 줄이려고 저음 Cut 스위치가 있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위 그래프에서의 점선은 저음 Cut스위치를 작동시켞을 때의 주파수 응답 특성입니다.

AKG_3101_H_00060_Perception_120_USB_Condenser

(저음 Cut 스위치와 감도 조절 스위치가 있는 AKG사의 Perception 120 USB Condenser Microphone.)

4. 직접 들어보기

자신에게 맞는지 마이크 소리를 들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엔지니어에게 소리를 조정해 달라고 요청해야 합니다. 믹서에서 톤을 조정하지 않으면 대부분의 마이크는 저음이 크게 들리고, 각 마이크의 특성에 따라 자신과 맞지 않는 음색을 처음에는 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다른 교회에 갔을 때 그 곳의 마이크를 사용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상 마이크를 잘 고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여러분들께서 자신에게 맞는 마이크를 찾으시기를 바라며, 특히 설교하시는 목사님들과 찬양팀의 보컬 분들이 목을 상하지 않고 좋은 소리로 설교와 찬양을 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하이테크 예배 신학 연구소 소장 우한별 목사

2018 개편 최종 IHWT LOGO

무단전재는 법적인 재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SNS에 링크를 하시거나 공유하는 것은 권장합니다.

예배 사역자 교육 음향 점검/측정/조정/시공에 관련된 컨설팅/악기문의 등 010-6253-0415 director@ihtwt.org

마이크를 잘 고르려면”에 대한 답글 2개

Add yours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

위로 ↑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