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맹인교회 음향 시스템 시공 이야기

1972년 1월 2일, 맹인교우 6명을 중심으로 회현동의 한 성도의 가정에서 시작한 한국맹인교회(한맹교회)는 한국 최초의 시각 장애인 교회입니다. 특히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많고, 복지가 거의 없던 시절 어렵게 자활을 하던 분들이 모여 예배를 드리면서 세워진 교회입니다.

남산 3호 터널 남산쪽 기슭에 있어서 이 앞을 지나가면서 ‘시각 장애인 교회가 여기에 있구나.’ 라고 생각했었습니다.

20170527_070032057_iOS
시내에서 남산 3호 터널로 경리단 쪽으로 가려고 방향을 잡으면 3호터널 톨 게이트 좌측 언덕에 한국 맹인 교회가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20170528_011634360_iOS
시각 장애우 분들이 교회를 가실 수 있게 명동역 4번 출구에서 교회에 이르기 까지 점자 블록이 깔려져 있습니다.

교회가 설립된 지 45년, 건물이 지어진 지도 오래되어 원래는 새로 건물을 짓고자 하였으나, 재정과 물기가 많은 지대, 이웃집과의 거리 등의 여러 어려움으로 시간을 오래 지내다가 2016년 권호섭 목사님의 부임 이후 차근차근 진전이 생겨 6월부터 본격적인 리모델링을 하게 되었습니다.

산 기슭에 위치하여 반 지하같은 구조이기에 예배당 건물 곳곳에 누수가 있었고, 습기로 인한 곰팡이와, 오래된 전기배선과 상하수도, 모자란 배수 시설로 리모델링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음향은 예배당 건물 건축 이후 한 번도 바뀌지 않은 탓에 정말 구경하기도 힘든 오래된 음향 기기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합판으로 하이파이 스피커 구조로 만들고 유닛을 설치한 스피커는 음의 명료도가 심하게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메인 스피커 중 오른쪽 스피커는 언제 부터 고장나 나오지 않는지 교회에서 아는 분이 아무도 없었습니다. 보조 스피커도 태반이 나오지 않았고, 딜레이 스피커로 사용하는 천정 실링 스피커 2개만 소리가 나왔습니다.

IMG_8142
기둥에 합판 구조물로 스피커 인클로우저를 만들고 스피커 유닛을 넣은 다음 그물망으로 마무리한 조악한 스피커( 저 구조 안에 기둥과 메인 스피커, 오르간 스피커 까지 같이 있습니다.)

 

이 슬라이드 쇼에는 JavaScript가 필요합니다.

목사님의 설교 사운드를 Real Time Analizer 앱으로 측정하니 심하게 명료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음압도 약해 예배당 뒷쪽에서는 설교 내용을 듣기위해 집중을 많이 해야 되었습니다. Spectrum Analizer로 보면 100Hz~1kHz의 중저역대에 소리의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고, 1kHz 대역대 이상은 에너지가 별로 없어 소리의 명료도가 많이 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왼쪽 메인 스피커에서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가 고장났기 때문이었습니다. 예배당 중간 앞쪽과 천정의 실링 딜레이 스피커가 살아있는 곳에서만 알아듣게 들렸고, 실링 스피커가 작동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설교를 듣는 것은 굉장한 집중력을 필요했습니다.

IMG_8119

음향 장비가 설치된 랙을 보니 아주 오래되고 제조사를 제대로 알 수 없는 제품으로 되어 있었고, 예배당 곳곳이 누수로 인한 곰팡이와 습기로 매우 위험한 상태였습니다. (90년대 초 설비로 내구 연한은 이미 오래 전에 지났습니다. 음향 랙이 설치된 위치도 예배 때 조정이 불가능하게 강대 뒤편 작은 방에 있었습니다.)

IMG_8149

양측 벽면은 목모보드 흡음재로 시공되어 과도한 흡음으로 소리의 생생함은 사라지고, 벽면 누수로 곰팡이가 끼어 페인트로 다시 칠하고, 또 그 위에 곰팡이가 끼어 있습니다. 소리도 그렇지만 곰팡이로 건강에 나쁜 영향이 있는 상태입니다.

IMG_8157.JPG

어둡고 침침하고 곰팡이 냄새가 나며, 소리는 명료도가 떨어진 아주 여러모로 안좋은 상황이었습니다.

그간 성도들이 어렵게 모은 헌금과 후원으로 오랜 숙원 사업이던 리모델링과 음향 시스템의 교체 공사가 같이 이루어 졌습니다.

저희 연구소에서 면밀하게 컨설팅을 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담임 목사님과 의논한 결과 숨어있는 방송실을 예배당 뒷편 오픈형으로 만들고, 교인의 80%가 보이지 않으셔서 거의 모든 교회 안의 일을 담임 목사님이 다 감당해야 하니 아이패드로 콘트롤이 되는 디지털 믹서로 시스템을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아이패드 프로를 사용하는데 익숙하시고 하이파이에 조여가 깊어 음향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습니다.)

찬양팀은 없고, 설교 중심의 음향 시스템이며, 예배당 구조는 천정이 낮고 길며, 사각지대가 많고 반사할 벽면이 많아 15인치 스피커로 한 번에 소리를 강력하게 밀기 보다는 10인치 스피커로 구획을 나눠 커버하도록 설계를 했습니다. 아마 메인 스피커가 강력한 일반적인 설계였다면 우측 돌출 벽면과 기둥, 성가대 쪽 벽면의 과도한 반사로 하울링과 공진이 심했을 것입니다. 인테리어 벽면은 목모보드 흡음재를 걷어내고 음의 확산을 만드는 요철구조로 바뀌었지만, 그래도 전 보다는 반사가 조금 더 생기기 때문에 출력을 높게해 소리를 밀어버리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렇게 시각 대신 청각이 예민한 교인분들과 오디오에 조예가 깊은 목사님이 계신 교회에 음향 공사를 하는 것은 최고의 소리를 만들어 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진행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일단 거의 모든 음향 장비가 오래되어 거의 다 철거와 폐기를 했습니다.(오래 되어도 훌륭하게 작동이 되는 EV사의 마이크만 폐기를 면했습니다.)

20170523_084211472_iOS
천정을 모두 철거하고 음향 케이블 매설을 위한 배관 공사를 먼저 했습니다. 전기 부문도 45년 묵은 케이블을 제거한 후 조명과 냉난방기를 달 위치를 잡고 새로 전선을 배관배선을 하였습니다.
photo_2017-06-03_23-02-51
기둥에 같이 만들어져 있던 메인 스피커와 오르간 스피커를 철거하고 천정에 메인 스피커를 달기 위해 배선 공사를 하는 모습입니다.
photo_2017-06-03_23-02-48 (2)
조명을 LED로 바꾸고 천정 공사를 인테리어가 마무리하는 중에 음향은 배관배선 공사를 진행했습니다.

인테리어와 동시에 음향 공사를 할 경우에 인터리어 공사와 면밀히 의논해 작업을 해야 합니다. 천정으로 배관배선 공사를 하려면 인테리어 업체에서 천정을 철거한 직후 바로 배관을 깔아야 작업이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합을 맞춰 해야 하기에 인테리어 기간만큼 음향도 공기가 길어지고, 중간에 인테리어가 마무리 할 동안 쉬어야 하기도 합니다.

20170604_020736987_iOS
점자로된 성경과 찬송가를 읽으시고, 주보도 일반용과 점자용 두 가지가 나옵니다.
20170604_043730241_iOS
기도나 성경 봉독 등을 하실 때 저렇게 작은 컴퓨터같이 생긴 점자 기계로 읽고 말씀을 하십니다.
20170604_032402983a_iOS
공사 기간 동안 먼저 소예배실을 리모델링을 하고  예배를 드렸습니다. 고장난 스피커를 철거하고 EV사의 스피커를 설치하였고, 멀티 케이블과 마이크를 추가하고, 기존의 파워드 믹서는 그대로 사용하였습니다.
20170608_040918490_iOS
강단 옆 성가대 석과 기둥들
20170608_040922226_iOS
성가대 석과 본 좌석 사이의 보조 좌석의 공간. 성가대 벽면과 보조 좌석측 벽면의 반사를 주의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출력이 쎈 메인 스피커로 소리를 밀 경우 공진과 하울링이 쉽게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20170614_050645429_iOS
인테리어와 스피커 설치가 마무리 된 모습입니다.
20170701_230958648_iOS
벽면이 반사가 잘 되고 설교 중심이라 작은 모니터를 설교자에 근접하게 설치를 했습니다. (찬양팀이 있다면 미니 모니터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인테리어 업체에서 다음에 공사를 같이하면 이 미니 모니터 스피커가 매립되게 강대상을 만들어 주시겠다고 하셨습니다.
20170614_071635428_iOS
각 스피커를 듣는 위치별로 음향 측정을 하고 정밀하게 소리를 조정했습니다. (측정 전용 마이크와 프로그램으로 소리를 잡는 모습)
20170617_010653633_iOS
강단에서 설교자에게 최적화된 음향을 만들기 위해 아이패드로 디지털 믹서를 조정하고 있습니다.

20180320_043816364_iOS20180320_043856788_iOS

20180320_044143723_iOS20180320_044543223_iOS

20180320_044108183_iOS
측면석 및 성가대석 쪽의 사각지대를 없앤 스피커 배치 – 너무 출력이 강해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명료하면서도 과하지 않은 레벨로 조정했습니다.
20180320_043924016_iOS
그랜드 피아노 스테레오 마이킹

 

 

20170625_021553377_iOS
헤드폰 앰프를 설치해 청각이 약해지신 분들께 설교와 찬양을 잘 들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 직접 녹음을 원하시는 분들도 편리하게 케이블을 연결해 핸디 녹음기로 깨끗한 음질로 녹음을 하실 수 있습니다.
20170618_011900561_iOS
성가대 석과 보조석을 향한 스피커(뒤의 두 개의 기둥에도 스피커가 설치되었으나 이 사진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성가대 녹음용 소형 컨덴서 마이크(총 4개가 앞 뒤열 좌우측에 설치되었습니다.)
20180320_044954572_iOS
두 대의 순차전원기는 링크를 시켜 맨 위의 순차전원기의 스위치 하나만 켜고 끄면 아래쪽 순차전원기도 이어서 작동되게 만들었습니다.

20170618_011907766_iOS20170618_020245431_iOS20170618_032544425_iOS

20170709_020517700_iOS
설비 완료 후 첫 주의 예배. 제대로 된 음향 세팅을 위해 주일 예배에 참석해 최종 조정을 하는 모습입니다.(아직 라벨링을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라 임시로 백색 테이프에 적은 모습입니다.)
20180320_044923126_iOS
모든 조정과 라벨링이 완료된 모습

산중턱에 위치한 45년이 된 예배당이어서 리모델링에도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방수, 전기 상하수도, 인테리어를 모두 보수하고 바꾸는 공사와 더불어 음향 공사를 하였기 때문에 작업을 한 번에 하지 못하고 공사 일정을 면밀히 조정해 중간중간 공사를 했습니다. 인테리어 업체가 매우 꼼꼼히고 치밀하게 해서 일정이나 현장 공사에서 합이 잘 맞았습니다.(중규모 이상 교회 인테리어에 이 업체를 추천합니다. 문의하실 일이 있으시면 연락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흡음재를 사용하지 못해 약간의 공진이 있는 구조이지만, 최대한 전기 음향적으로 공진을 잡고 명료도를 확보해 지금은 거의 음향적으로 손을 댈 필요가 없게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목사님이 아이패드로 소리 크기 조정과 본인 톤을 직접 약간 조정하실 정도로 신경 쓸 부분을 거의 없도록 했습니다. 소리에 민감하신 목사님과 성도분들이 만족하도록 예배에 참석해 음향을 세밀하게 조정해 드렸습니다.

신경 쓸 부분이 많았던 만큼 만족과 보람도 컸던 음향 공사였습니다.

시공에 대한 문의가 있으신 교회는 먼저 바로 아래 “시공 컨설팅”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시공 컨설팅

 

 

© 하이테크 예배 신학 연구소 소장 우한별 목사

2018 개편 최종 IHWT LOGO

무단전재는 법적인 재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SNS에 링크를 하시거나 공유하는 것은 권장합니다.

예배 사역자 교육 음향 점검/측정/조정/시공에 관련된 컨설팅/악기문의 등 010-6253-0415 director@ihtwt.org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

위로 ↑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