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에 의한 대체 예배는 무엇을 고려해야 하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가운데, 각 교회들은 전염병 예방을 위해 주일 공예배를 자제하고 영상 예배와 가정 예배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각 교단 신학교에서 이에 대한 바른 신학적 가이드를 발표함으로, 이런 상황에서의 공예배 자제가 신학적으로도 문제가 없음을 알리고, 어떤 방향에서 준비되어야 하는지 안내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소는 신학적으로는 선교적 관점에서의 예배 연구를 하기 때문에,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대체... Continue Reading →

현대 교회는 소비주의에 잠식 당하고 있다.

20세기 중반 이후 한국 교회의 맹신화에는 소비주의 신앙화가 아마 제일 큰 원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이런 소비주의 맹신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최근의 요소는 영상 예배와 QT라고 생각합니다. 두 가지 다 나름대로의 장점들이 있습니다. 제대로만 사용한다면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입니다만, 프로그램화되고 교회 성장의 수단으로 급하게 적용되다보니, 신학적으로 신중하게 점검할 기회를 잃어버리고 부작용들이 나타났습니다. QT의... Continue Reading →

현대 예배를 드리지만 변화를 보이지 못하는 이유

수 많은 교회에서 첨단 미디어 기기와 전자 악기를 동원한 현대 예배가 기획돠고 매 주 드려지고 있습니다.
그많큼 예배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지나왔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예배를 위해 노력한 시간이 쌓였지만, 한국 교회의 현실은 더 어두워 지고 있습니다.
교인수가 줄고(특히 젊은 층), 사회에 지탄받는 일들이 일어나고, 예배에서 잘 못된 설교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그 문제에 대해 짧지만 같이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

위로 ↑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