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에서 본질이 아닌 것을, 또 성경이 명확하게 말하지 않는 것을 마치 진리인양, 절대적인 교리인양 말해서 오히려 문제가 되고, 신앙 무용론과 하나님의 존재를 거부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지구가 편평하다, 인간이 사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주장입니다. 이런 주장을 절대화 해서 가르치다보니 과학의 발달로 사실이 아님이 밝혀지기 시작할 때, 이에 대해 악을 쓰고 거짓이라고 반발하고 억압하는 모습을... Continue Reading →
7. 성육신적 미디어 사역을 위한 기준들
성육신적 관점에서 미디어 사역을 하려면 몇 가지 피하고 벗어나야 할 것들과 세워나가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현실에서 우리들이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부분들이지만 간과하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을 잘 세워가지 못합니다. 너무 여럽지 않고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부분이니 잘 읽어보시고 실천하시기를 바랍니다.
5.작은 교회도 예배 기획팀을 만들자
무엇을 위해 예배 기획팀을 만들 것인가? 멀티미디어 예배가 되면서 많은 장비와 인력이 투입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대형교회에서는 예배 기획팀을 만들어 회의를 하고 큐시트를 만들어 예배의 시간대별 순서와 음향, 영상, 조명, 강단의 실시간 상황을 통제하여 예배의 순서와 내용, 그리고 시간을 정확하게 맞춰 나갑니다. 사실 이런 측면에서 예배가 기획되는 것은 상당히 불행한 일입니다.
6.당신은 예배 소비자인가? 성육신 관점의 창조적 미디어 담당자인가?
더 이상 유행과 소비주의적인 것에 좌지우지되는 예배가 아니라, 성육신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사람들의 영혼까지 같이 소통할 수 있는 창조적인 예배 미디어 사역자가 되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