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를 살려야 한다는 명제에 따라 한국 교회는 예배에 다양한 시도를 해 왔습니다. 그러나 그 명제와 방법론에 앞서 우리가 세워야 할 본질이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눈으로 보는 아날로그 믹서 기능 설명
아날로그 믹서를 드냥 켜고 끄고, 페이더만 올렸다 내렸다만 하시나요? 믹서 기능을 간단히 그림으로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디지털 믹서 도입을 고려하는 교회를 위한 가이드 라인
대형 교회에서 주로 보던 디지털 믹서가 고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가격이 합리적인 중소형의 디지털 믹서가 출시되어 중소 교회에서도 도입을 하는 경우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교회에서 예배의 표현과 양식이 다양화 되면서 여러 가지 퍼포먼스를 뒷받침하기 위해 디지털 믹서가 많이 추천됩니다. 그러나 최신 기술의 디지털 믹서를 도입하기 위해 몇 가지 고려할 점들이 있습니다. 무턱대고 도입하다가 제대로 활용도 못하고 아날로그 음향 시스템보다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몇 가지 검토 기준을 적어 봤습니다.
마이크를 잘 고르려면
음향 시스템에서 소리의 첫 관문인 마이크는 그 중요성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원 소스가 좋을 수록 뒤에서 프로세싱의 질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수천가지의 마이크들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어서 어떤 마이크를 골라야 할지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은 어떻게 해야 적합하고 좋은 마이크를 고를 수 있는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교회 음향을 위한 BASIC CHECK
시간이 갈 수록 교회에서 음향 활용에 대한 필요와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음향의 기초를 잘 모르기 때문에 여러 형태의 예배와 프로그램을 적용하려는 많은 교회에서 활용과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교회 음향 활용에서 가장 궁금하게 생각하는 것과 운용의 기초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녹음과 Audio Interface
교회에서는 설교와 성가대 찬양 등을 녹음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설교를 홈페이지에 편집해 올리거나, 성가대 찬양을 올리고 싶어하는 작은 교회들이 많습니다. 설교에 언급된 교회 내부 이야기를 궂이 외부에까지 올려 오해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 편집이 필요하기도 하고, 성가대 찬양을 모아 오디오 CD나 MP3 파일 모음으로 만들어 성가대원들이 기념으로 보관하려고 하기도 합니다. 실제 녹음이나 동영상을 올리는 교회들을... Continue Reading →
여전히 실용주의가 예배를 좌우하는가?
현재 우리의 예배는 어떤 모습인가요? 현대적 예배가 접목된 지 30년이 되었습니다. 이 시점에서 스스로를 돌아보고 한국 교회의 미래를 준비해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