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공예배를 취소하고 대체 예배를 드리는 교회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대형교회들은 인원이 많이 모이기에 전염병 확산 위험이 있어서 정부에서도 공예배를 취소하고 대체 예배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일부 대형교회는 공예배를 강행하며 우리 교회는 예배에 목숨을 건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예배에 목숨을 건다"는 것이 과연 그런 의미일까요? 짧은 신학적 글이지만 그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하는 글입니다.
전염병에 의한 대체 예배는 무엇을 고려해야 하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가운데, 각 교회들은 전염병 예방을 위해 주일 공예배를 자제하고 영상 예배와 가정 예배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각 교단 신학교에서 이에 대한 바른 신학적 가이드를 발표함으로, 이런 상황에서의 공예배 자제가 신학적으로도 문제가 없음을 알리고, 어떤 방향에서 준비되어야 하는지 안내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소는 신학적으로는 선교적 관점에서의 예배 연구를 하기 때문에,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대체... Continue Reading →
현대 교회는 소비주의에 잠식 당하고 있다.
20세기 중반 이후 한국 교회의 맹신화에는 소비주의 신앙화가 아마 제일 큰 원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이런 소비주의 맹신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최근의 요소는 영상 예배와 QT라고 생각합니다. 두 가지 다 나름대로의 장점들이 있습니다. 제대로만 사용한다면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입니다만, 프로그램화되고 교회 성장의 수단으로 급하게 적용되다보니, 신학적으로 신중하게 점검할 기회를 잃어버리고 부작용들이 나타났습니다. QT의... Continue Reading →
예배 기획은 퍼포먼스가 아니다. 예배 기획은 교회를 재정의 한다. 1
작은 교회도 예배 기획을 해야 한다고 미디어와 예배 섹션에서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면 어떤 예배 기획을 해야 하느냐 라고 생각하면 방법론에 치우칠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예배의 기획은 가장 기초가 되는 신학적인 관점을 모르면 본질을 버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코너에서는 예배 기획의 기초가 되는 신학적 관점에 대해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I. 예배의 정체성을 세우자 예배 기획은 예배의 내용과... Continue Reading →